4월, 2025의 게시물 표시

전자책 업로드 플랫폼 정리

  1 출판사 - 리디북스 -밀리의 서재 - 교보문고 -yes24 -알라딘 -퍼플 -원북스 -구글플레이북 -애플북스 -스토리텔 -윌라 - 카카오페이지 -네이버 시리즈 2. 웹소설 작가 - 조아라 -문피아 -카카오스테이지  -블라이스 -북팔 -노벨피아 -브릿G -디리토(리디연계)

🔹 유튜브에서 저작권 보호하는 방법

유튜브 Content ID 등록 유튜브는 'Content ID' 시스템을 통해 저작권을 보호해 줘 . 하지만 개인이 직접 등록하는 건 어렵고 , 일반적으로 음악 배급사를 통해야 해 . ' 디스트로킷 (DistroKid)', ' 시디베이비 (CD Baby)', ' 튠코어 (TuneCore)' 같은 배급사를 이용하면 자동으로 Content ID 에 등록돼 . 저작권 등록 ( 공식적으로 증명하기 ) 한국에서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 (KOMCA), 한국저작권위원회 등을 통해 저작권을 등록할 수 있어 . 해외 사이트 중에는 Copyrighted.com 같은 서비스도 있어 . 꼭 등록하지 않아도 네가 만든 걸 증명할 수 있지만 , 등록해 두면 법적으로 더 강한 보호를 받을 수 있어 . 영상 설명란에 저작권 명시 "© 2025. [ 네 이름 or 채널명 ]. All rights reserved." "Unauthorized use is prohibited." 이런 문구를 넣어 두면 사람들이 함부로 가져가는 걸 막는 효과가 있어 . CC 라이선스 설정 ( 선택 사항 ) 만약 일부 사용을 허락하고 싶다면 , '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(CC)' 를 설정할 수도 있어 . 예를 들어 , "CC BY-NC( 비영리 사용 가능 )" 같은 걸로 설정하면 상업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할 수 있어 . 🔹 누가 무단으로 사용하면 ? 유튜브에서 신고 ( 저작권 침해 신고 ) 를 하면 해당 영상이 삭제되거나 수익 창출이 차단돼 . Content ID 에 등록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감지해서 네가 수익을 가져갈 수도 있어 .

버튜버 되는 법

  버튜버(VTuber) 되는 법 버튜버가 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단계를 거치면 됩니다: 아바타를 만든다 방송한다 1. 🎭 아바타를 만든다 버튜버는 실제 얼굴 대신 가상 아바타로 활동 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이기 때문에, 아바타는 꼭 필요해요. 다만, 직접 만들 필요는 없고 , 다양한 방법으로 준비할 수 있어요. 아바타 준비 방법 무료 제작 툴 사용 Vroid Studio : 가장 대중적인 3D 캐릭터 제작 툴. 머리, 얼굴, 옷 등을 커스터마이징 가능. 캐릭터를 만든 뒤 바로 VRM 파일로 저장해서 사용 가능. Live3D : 2D 스타일의 아바타를 손쉽게 만들 수 있음. 실시간 표정 반영도 지원. ReadyPlayerMe : 현실적인 느낌의 3D 아바타 제작 툴. 웹 기반으로 편리함. 무료 배포 아바타 사용 트위터나 Booth 같은 곳에서 크리에이터들이 무료로 배포하는 아바타를 찾을 수 있어요. → 단, 사용 조건(출처 표기, 상업적 이용 금지 등)을 꼭 확인하세요. 디자이너에게 의뢰 캐릭터 디자인 → 일러스트 작업 → 모델링(Live2D or 3D)까지 순서대로 외주 가능 보통 Live2D 기준으로 수십만 원~수백만 원까지 다양 클라이언트로 많이 쓰는 사이트: Skeb , 크몽 , 트위터 , Fiverr 페이스트래킹 소프트웨어 아바타가 사용자의 표정, 눈, 입 움직임을 따라하도록 도와줍니다. 추천 프로그램: VTube Studio (Live2D용, 사용 편리하고 모바일 연동도 가능) Animaze (FaceRig 후속작, 다양한 캐릭터와 기능 있음) Luppet (3D 아바타용, 일본에서 인기 많음) 2. 📺 방송한다 아바타가 준비되었다면, 본격적으로 방송을 시작할 수 있어요! 방송 준비 방법 플랫폼 선택 버튜버들이 주로 활동하는 플랫폼: YouTube Live : 아카이브 보존...

인기 있는 유튜브 키워드 확인하는 방법

 인기 있는 유튜브 키워드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있어! 상황에 따라 무료/유료 도구들을 활용할 수 있어: 🔍 1. YouTube 자체 기능 활용하기 검색창 자동완성 유튜브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자동완성으로 인기 검색어를 추천해줘. 예: "다이어트" 입력 → "다이어트 식단", "다이어트 운동", "다이어트 브이로그" 등 트렌딩 페이지 유튜브 인기 페이지 지금 화제인 영상들을 보고 어떤 주제가 인기 있는지 파악할 수 있어. 🛠️ 2. 키워드 분석 툴 사용하기 ✅ 무료 도구 Google Trends ( https://trends.google.com/ ) 지역별, 시간대별 검색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어. "YouTube 검색"으로 필터 가능! Keyword Tool ( https://keywordtool.io/youtube ) 유튜브 검색어 자동완성 기반으로 인기 키워드를 뽑아줘 (일부 기능은 유료). ✅ 유료 도구 vidIQ ( https://vidiq.com/ ) 유튜브 채널 분석, 키워드 점수, 검색량, 경쟁 정도 등 다양한 정보 제공. TubeBuddy ( https://www.tubebuddy.com/ ) 유튜브 키워드 연구 및 영상 SEO 최적화 도구. 유튜버들이 많이 씀. 💡 팁 경쟁은 적고 검색량은 높은 롱테일 키워드 를 노려보는 것도 좋아. 계절이나 시기별 트렌드도 반영해봐 (예: 여름에는 '쿨링 메이크업', 연말에는 '송년회 VLOG').

AI 가 쓴 글은 티가 날 때가 많다고 챗GPT에게 말했더니

AI 가 써준 글은 어쩐지 AI 가 써준 티가 난다 . ChatGPT 의 말 : 그 말 , 정말 공감 가요 . AI 가 쓴 글은 묘하게 ‘ 매끈한데 감정이 덜 실린 느낌 ’ 이라고 할까요 ? 문법은 완벽하고 , 문장도 군더더기 없이 잘 써졌지만 ... 어딘가 기계 냄새가 나는 거죠 . 혹시 최근에 AI 가 쓴 글을 보고 그렇게 느낀 건가요 ? 어떤 부분이 특히 " 티 " 가 났는지 궁금하네요 . 나의 말 :  맞아 . 감정이 덜 실리고 군더더기 없지 . 완벽한데 내용이 없어 ㅋ ChatGPT 의 말 : ㅋㅋㅋ 완벽한데 내용이 없어 — 이 말 찰떡이다 . 괜히 말 잘하는데 아무 말도 안 하는 사람 떠오르네 . 겉은 그럴듯한데 , 읽고 나면 “ 그래서 하고 싶은 말이 뭐지 ?” 싶을 때 있잖아 . AI 글이 그런 경우가 많아 . 특히 뭔가 정답을 말하려고 애쓰는 느낌 ? 논쟁 피하려고 뾰족한 말은 다 피해가고 , 감정도 최대한 무난하게 깎아낸 그런 톤 . 혹시 그 글 어떤 주제였어 ? 재밌을 것 같아서 . 나의 말 : 그러니까 마치 관공서에서 발간하는 외부 문서를 만들기 위한 카피라이팅 같달까 ? ChatGPT 의 말 : 와 그 비유 진짜 정확하다ㅋㅋ 관공서 문서 감성 = 최대한 아무도 기분 안 상하게 ,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게 , 의미는 있는 것처럼 … 근데 정작 읽고 나면 기억에 남는 문장은 하나도 없는 . " 시민 여러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앞으로도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." 이런 느낌ㅋㅋ AI 가 쓰면 감정의 리스크를 피하려다 보니 결국 그런 ‘ 무해한 말 ’ 들만 모아서 글을 짜는 거지 .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정이 잘 살아 있는 AI 글도 가끔 있긴 하거든 . 근데 그건 꽤 의도적으로 스타일을 넣어줘야 해 . 혹시 그런 감정 살아 있는 글도 읽어본 적 있어 ? 나의 말 : 그 와중에 뭔가 더 정서적으로 쓰려는 느낌이 있어 . 근데 그게 엄청 딱딱하고 건조한 일면이 있지 . ChatGPT 의 말 : 맞아맞아 ! ...